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바
- Spring Boot
- design pattern
- react
- AWS
- 쿠버네티스
- 도커
- github
- Python
- 마이바티스
- DataGridView
- Kotlin
- MySQL
- 리팩토링
- Java
- machine-learning
- mybatis
- docker
- 코틀린
- 파이썬
- 스프링
- 스프링부트
- kubernetes
- springboot
- Winform
- VOA
- c#
- Spring
- 리액트
- git
- Today
- Total
목록컴퓨터 관련 (154)
보뇨 다이어리

좀 어이없는 문제인데 여러 프로젝트를 왔다갔다하면서 테스트를 실행시키는데 예를들어 A 프로젝트는 이미 종료, B 프로젝트에서 테스트를 실행시키면 제목과 같이 에러가 나온다 점점은 A 프로젝트 pwd 가 나오게 된다 .idea 폴더 문제인줄알고 지워도봤지만 문제가 아니였고 정확히 junit configuration 쪽에 문제가 생긴거였다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shift 두번클릭 2. junit configuration 검색 3. 아래 사진에서 working directory 를 삭제해주면 끝
패턴공부하는도중 이 2개가 서로 비슷하다는 인상을 받았고 어떻게 뭐가 다른지 찾아보았다. 정확한 차이점은 바로 이것이다! 전략 패턴 템플릿메소드 패턴 구현 상속 알고리즘 전체를 변경 알고리즘은 부모클래스에 정의하고 자식클래스에서는 세부사항만 변경 즉 이렇게 생각하면 쉽다. 도둑들의 훔치는방법은 제각각인데 결론 누군가의 주머니에서 훔치는건 똑같다. 이게 템플릿메소드이고 전략은 내가 전사였다가 마법사였다가 이렇게 바꾸는것이다. 출처 디자인패턴 레파지토리 전략패턴과 템플릿메소드패턴의 차이점
인터넷에 치면 바로 내용이 나오긴하지만 기억해둘겸 적어봅니다 바로 아래의 코드를 일단 보도록하면.. Stream.of(1,2,3,4,5,6,7,8,9) .filter(n -> n%2 == 0) .forEach(System.out::println); Stream.of(2,4,3,4,5,6,7,8,9) .takeWhile(n -> n%2 == 0) .forEach(System.out::println); filter는 조건에 대해 다 검사하며 참인것만 다음으로 넘어가지만 takeWhile은 조건에 대해 참이 아닐경우 바로 거기서 멈추게 된다 즉 결과는 이런식으로 나오게 된다. 2 4 6 8 2 4

UML 을 작성하고 기획부터 확실히 하는것을 습관화 할려고했는데 자주 미루었다가 이번에 제대로 하기로 함 인텔리제이의 PlantUML 을 사용할려다가 UML 문법이 안먹히면서 다음과 같은 에러를 밷었다. 솔직히 해당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integration 을 보면 graphviz 를 다운받으라고 말이 나오는데 엄청 간단하다 그냥 해당 링크 가서 다운받으면 끝이였다...현재 사용중인 환경은 Windows 10 이기때문에 msi 확장자로 다운받아 설치했더니 바로 잘 나온다
리드미 파일에 뱃지를 다는게 재미있어서 travis 로 만들려고하는데 에러가 발생함 /home/travis/.travis/functions: line 320: ./gradlew: Permission denied gradlew 을 접근못하는거같은데 찾아보니 그냥 모든 사용자한테 접근권한을 풀어주면 바로 되는문제였다 그래서 스크립트는 다음과 같이 짠다. 해당스크립트는 travis.yml에 들어가게된다 before_install: - chmod +x gradlew 출처 gradlew 에러해결방법 chmod 의 의미
코딩테스트 문제를 풀다가 다음과 같이 진행하다보니 9번 라인에 에러를 뱉었다 def cal(): while True: numbers = list(map(int, input().split())) if numbers[0] is 0: return del numbers[0] numbers_of_cases = list(combinations(numbers, 6)) for case in numbers_of_cases: print(' '.join(case)) print() 분명 join 메소드를 뜯어보면 iterable 이 들어올수있다고하고 tuple, list 등이 iterable의 대표적인 예다 라고 되어있는데....왜인지 계속 찾아보다가 안나와서 ㅜㅜ 일단 해결방법은 찾았다 해결방법은 다음과 같은..
BitBucket to Github 마이그레이션 작업진행중에 문제가 발생했는데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 git clone https://github.com/joons/task_documentations.git Cloning into 'task_documentations'... remote: Repository not found. fatal: repository 'https://github.com/joons/task_documentations.git/' not found 딱 보기에도 private 이기때문에 접근이 안되는거 같은데 어떻게 하지 찾아보다가 빗버켓처럼 작성하면 되는거시와요!! 당연히 대괄호는 삭제하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만 입력해주면된다 $ git clone http..